깜신의 작은 진료소(92)
-
경희 한방 다이어트, 알고 보니 황당
인터넷 돌아다니다가 ‘경희한방다이어트’나 '비감해독다이어트'라는 광고 본 적 있으신가요? 저도 웹서핑하다 지나친 적이 있는데요. 홈페이지를 어찌나 예쁘게 꾸며놓았는지 보기만 해도 신뢰가 팍팍 가더군요. ◀ 손가락을 누르면, 우리 모두가 함께 건강해집니다. 로그인 필요없습니다. ◀ 좋아! 버튼 누르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정말 잘 꾸며놓지 않았나요? 이 홈페이지를 제작한 웹디자이너를 찾아가 제 블로그 스킨을 부탁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히트메이커니 단가를 세게 부르려나요?!) 컨슈머리포터를 지향하는 제가 이런 광고를 그냥 지나칠 수 없죠. 하지만, ‘한의학박사들이 연구개발한’이라는 문구에 조금 조심스러워졌습니다. 그래서 해당 임상 자료를 개발사 측에 요청하려는 찰라, 아래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소..
2010.08.23 -
플라스틱 병, 알수록 더 무서워
플라스틱병(PET계열이 아닌 폴리카보네이트(PC)계열)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는 자주 들어보셨죠?! 특히나 아이를 키우는 집에선 훨씬 민감하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오늘은 바로 플라스틱병 위해성 논란의 주범인 Bisphenol A에 대한 최근 소식입니다. ◀ 손가락을 누르면, 우리 모두가 함께 건강해집니다. 로그인 필요없습니다. ◀ 좋아! 버튼 누르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기념품 by kiyong2 해당 플라스틱병은 본 포스팅과 연관이 없는 PET병입니다. 본 포스팅 내용은 PC계열(단단하고 끓일 수도 있는) 플라스틱병에 대한 이야기임을 밝힙니다. Flickr에 PC계열 플라스틱병 사진이 없어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플라스틱 병 위해성 논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죠. 플라스틱 병이 건강에 해..
2010.08.20 -
한순간에 영웅 되는, 약간 바뀐 응급구조요령 알아보니
누군가 갑자기 숨을 멈추고 쓰러진 거예요.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그저 놀라 당황하고 웅성거리기만 할 때, 마치 이 순간을 평생 기다렸다는 듯 뛰쳐나가 상황을 정리하는 거죠. ‘보고만 있지 말고, 어서 119에 신고해주세요!!’ 그리고선, 평소에 알아두었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겁니다. 심폐소생술은 호흡이나 심장이 정지한 후, 얼마나 빨리 시작하는지가 성공의 관건입니다. 의료 전문가들보다도 옆에 있는 누군가가 응급구조를 위한 심폐소생술을 해준다면, 틀림없이 전생에 착한 일을 넉넉히 해두었던 거겠죠?! 그래서 응급구조를 제게 가르쳐주신 교수님은 이런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응급구조요령은 되도록 많은 사람에게 제대로 알려줘야 해. 그래야 어느 날 네가 쓰러졌을 때, 옆에 있는 사람들이 도와줄 거 아니니.’ ◀..
2010.08.18 -
체지방 빼준다는 팻다운, 효과 알아 보니 섭섭
여름을 맞아, 체지방 제거가 항상 핫이슈입니다. 홈쇼핑에서는 연일 체지방 제거를 돕는다는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고요. 오늘은 많은 독자분들이 제게 효과에 대해 문의를 하셨던 팻다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깜신은 대한민국의 컨슈커리포터를 지향합니다. 혹시 또, 효과에 대해 궁금한 제품이 있으면 댓글로 올려주세요. 시간나는대로,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 ) ◀ 손가락을 눌러서 이 글을 소문내 주세요. 로그인 필요없습니다. ◀ 좋아! 버튼 누르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팻다운의 성분부터 알아봅니다. 성분표를 보시면, 체지방 합성을 방해한다는 성분이 HCA입니다. HCA는 hydroxycitric acid의 줄임말이죠. 이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인데요.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합..
2010.08.16 -
[뷰애드] 의학전문기자와 의사블로거의 차이는?
블로깅을 시작한지도 벌써 11개월째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그저 글로 이야기를 나눈다는 매력만 생각하고, 별 다른 고민 없이 덤벼들었던 것 같습니다. 오히려 고민은 그 후에 따라왔죠. 처음 몇몇 글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구독자분들이 늘어났습니다. 자연스레 글에 좀 더 맘을 쓰게 되더군요. 주저리 주저리 다양한 얘기 써보려던 처음 생각과는 다르게 건강관련 글들을 주로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정기구독자 분들은 구독을 신청할 때 읽었던 맥락의 글들을 지속적으로 기대할 거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그렇게 몇 달을 열심히 포스팅하다보니, 제가 꼭 의학전문기자가 된 듯한 기분마저 들었습니다. 그래서 블로거를 1인 미디어라고 하나보다, 라는 생각도 그때 하게 되었죠. 새로운 건강 뉴스를 발 빠르게 전..
2010.08.13 -
간에 좋다는 헛개나무, 잘못 먹으면 큰일!!
깜신입니다. 저번 주말, 본가에 가서 아버지와 저녁 늦게까지 술을 마셨습니다. 본가에 가더라도 간 녀석을 쉬게 해줄 수는 없죠. 전신운동은 안 해도, 주 3회 이상 간만큼은 호되게 운동을 시키고 삽니다. ㅠ.ㅠ 숙취에 눈을 떴더니, 조금 먼저 일어나신 아버지께서 온화한 눈빛으로 약사발을 건네시더군요. ‘아들이니까, 주는 거야.’ ‘뭐예요?’ ‘헛개나무~ 숙취엔 이만한 게 없다.’ 역시 의사 집이 의료의 가장 어두운 사각지대라더니, 저희 집도 예외가 아니더군요. ^^; 여러분도 헛개나무를 아시나요? 혹시, 오늘 아침에도 헛개나무로 속을 달래진 않으셨나요? 오늘은 간에 좋다고 소문난 헛개나무, 바로 이 친구 이야기입니다. ◀ 손가락을 누르면, 우리 모두가 함께 건강해집니다. 로그인 필요없습니다. ◀ 좋아! ..
2010.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