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히스타민(5)
-
의사깜신이 전하는 ‘모기 물렸을 때 똑 소리 나게 대처하는 법’
여름밤의 흡혈귀, 모기가 사람을 귀찮게 합니다. 여러분은 모기 물렸을 때 어떻게 하시나요? 정말 다양한 민간요법이 있습니다. 어떤 분은 침을 바르기도 하고, 또 어떤 분은 성냥빵(요즘엔 자주 보이지는 않는데요. 성냥이 주위에 흔하던 시절엔 성냥에 불을 붙였다 끈 , 살짝 뜨거운 기가 남아 있을 때 물린 자리를 지지는 행위)를 하기도 했었습니다. ㅠ.ㅠ 뭐, 모기 물렸다고 죽고 사는 게 아니니, 각 가정마다 알아서 잘 해결하고 계시는데요. 의학적으로 가장 현명한 대처법은 뭘까요? ◀ 손가락을 누르면, 우리 모두가 함께 건강해집니다. 로그인 필요없습니다. ◀ 좋아! 버튼 누르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모기에 물렸다고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당연히 몇몇 경우를 제외하면 의학적으로..
2010.07.07 -
의사가 말하는 알레르기성 아닌 비염 생존지침서
비염하면, 대부분 알레르기성 비염을 떠올리는 것 같다. 하지만, 비염 = 알레르기성비염의 공식은 절대 성립되지 않는다. 얼마 전 댓글창에 아래와 같은 질문이 올라왔다. 불안할 때 콧물이 흐른다면, 당황했을 법도 하다. 하지만, 괜춘하다. 오늘 깜신의 글을 다 읽고 나면 아마 걱정이 한시름 덜어질테니 말이다. 비염의 절반은 알레르기성 비염이 아니다!! 유선, 비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비염의 정확한 정의부터 알아보자. 비염이란, 비루(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코막힘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큰 개념이다. 그러니, 이비인후과에 내원하는 대다수의 코 환자를 비염환자로 통칭하는 대는 사실상 별문제가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비염환자가 알레르기..
2010.02.01 -
이비인후과약 독하다는데, 그 진실은??
들어가는 글 감기 때문에 병원을 찾는 많은 분들을 만나다보면, 이비인후과약에 대한 여러 편견을 접하게 된다. 그 중 하나는, 이비인후과약이 타 진료과약에 비해 약발이 좋다는 거고, 다른 하나는 이비인후과약이 독하다는 거다. 어쨌거나, 이비인후과약이 좀 쎈 편이라는 공통된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는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그 속얘기를 해볼까한다. 첫번째 편견 : 이비인후과약이 타 진료과약에 비해 약발이 좋다는데.. 이비인후과 입장에서야 반가워할 일이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이건 사실 무근이다. 한 건물에 이비인후과, 소아과, 내과가 함께 있다고 해보자. 어느과에서 감기약을 지어도 똑같은 약국에서 약을 조제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약국이 같은데, 이비인후과만 좋은 약을 골라 처방할 리 없다. 그래도 어쨌든 내 ..
2009.12.18 -
CF속 오트리빈 쓰다가 코 다 망가진 환자 사연
안녕하세요. 의사 깜신입니다.요즘들어 제 외래에 오트리빈 부작용으로 고생하는 환자분들이자꾸 늘어 속상하기 이를 데 없네요.그래서 오늘은 CF까지 하는 오트리빈 비염 스프레이에 대한 불편한 진실과이에 더해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분류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이 광고 보신적 있으신가요? '숨쉬는 즐거움'.. 정말 마음이 훅~가는 광고카피죠.비염 스프레이 중에서는 유일하게 TV광고까지 하는 제품입니다.때문에, 코막힘으로 고생하시는 비염환자분들 사이에서는 꽤 유명한 제품이죠.설명을 위해 비염 치료에 처방되고 있는 스프레이형 약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첫번째는 국소 스테로이드 비강용제입니다.예전에 제 글에서 한번 언급한 바 있는 바로 그 약입니다.효과가 나타나는데 일주일가량의 시..
2009.11.16 -
미국과 한국에서의 알레르기비염치료가 다르다??
뉴스를 보니, 전국 유명산들이 모두 단풍으로 물들어 절경이라네요. 한편으론, 이제 알레르기의 계절 한중턱에 와 있는 것 같습니다. 외래엔 점점 더 알레르기 환자분들이 늘어나고 있구요. 그래서 오늘은, 한국과 미국에서의 알레르기비염치료가 약간은 다르게 적용된다는 얘기를 해보려합니다. 미국에서는 알레르기 비염증상으로 병원에 처음 내원 하면, 일차 치료 약제로 코 스프레이(국소용 스테로이드제제)를 처방합니다. 스프레이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두번째 내원시 항히스타민등의 투약 치료를 시작하구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첫 내원시,투약 치료를 먼저시작하거나, 투약과 스프레이 병행치료를 시작합니다. 여기에는 한국사람들의 '빨리빨리 성향'이 반영됐다고 봅니다. 코 스프레이(국소 스테로이드 비용제를 말함)용제는 효과..
2009.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