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5. 19. 07:00ㆍ온 국민 건강프로젝트
변비로 입원까지 한다고?!!!
그렇다. 변비로 입원까지 한다.
안 걸려 본 사람은 상상을 못한다. 그 괴로움이 어떤지.
▲ 좋아! 버튼 누르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쾌변 하실 거예요..
어떤 환자는 일주일이 지나도 배변을 못해 습관적으로 좌약을 넣으면서 자가 치료를 한다. 또 어떤 환자는 고통을 못 이겨서 자기 손가락을 항문에 넣어 관장을 하기도 한다. 옆에서 보는 사람까지도 그 괴로움이 고스란히 느껴질 정도로 만성 변비로 인한 심신의 스트레스는 크다. 그래서 오늘은 변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변비 환자들이 외래를 찾을 때 주로 얘기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대변이 너무 딱딱하고 적게 나온다. 대변 볼 때 힘을 많이 줘도 잘 안 나온다. 일주일에 두 번도 보기 어렵다. 대변을 보고 나와도 시원치 않고 계속 뭔가 남아 있는 것 같다. 다 맞는 증상이다. 이러한 변비 증상은 보통 나이가 들수록 더 자주 나타난다.
이학적 검사 중 하나가 직장 수지 검사다. 이는 직장 내의 어떤 덩어리나 구조적 이상 및 혈변을 확인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하는 검사다.
또, 변비가 최근에 새로 생기거나, 혈변, 체중 감소, 대장암의 가족력이 있다면 대장 내시경을 통해 대장암의 유무를 확인해야 된다.
먼저 대장 통과 시간 검사(colon transit time)가 있다. 이는 대장 운동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다.
이 검사에서 이상 반응이 있을 경우 항문 직장 내압측정 검사(anorectal manometry)를 해 볼 수 있다. 이는 항문 관과 직장관내의 압력을 측정해서 항문 괄약근의 효율적인 움직임 등을 알아내는 검사다.
여기서 이상이 있으면 배변 조영술(defecography)을 해 본다. 황산바륨이라는 약물을 직장 내로 넣고 직접 변기에 앉아 대변을 보고 실시간 관찰하여 직장과 에스결장의 움직임과 치골 직장근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배변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다.
이 검사에서도 이상이 있으면 약물치료 및 식이 조절 외에 바이오피드백 같은 행동 요법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
변비 환자들은 대부분 자연히 나아질 거라 생각하고 집에서 자가 치료로 버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위와 같은 순차적인 검사를 통해 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서 약물치료 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요점은 변비는 집에서 그냥 두고 볼 일이 아니라는 거다. 나이를 불문하고 위의 증상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창피해 하지 말고 병원을 찾자~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나이 팔십에 막내 손주와 지리산 종주를 꿈꾸신다면, 깜신글을 구독해보세요.
깜신이 옆에서 힘닿는 데까지 열심히 돕겠습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건강할 그 날을 꿈꿉니다.
한RSS에서 구독하길 원하시는 분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

Daum에서 구독하길 원하시는분은 여기를 클릭 ->Daum View 구독+
네이버를 즐겨 쓰시면 오픈캐스터를 구독하세요 -> OPENCAST
'온 국민 건강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3가지 오해 (40) | 2010.05.31 |
---|---|
의사깜신이 전하는 파스 사용설명서 (38) | 2010.05.28 |
수면 단축이 수명 단축 시킨다. (42) | 2010.05.17 |
커피 마니아라면 알아야 할 커피와 암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 (47) | 2010.05.10 |
전문의가 말하는 과민성 대장 증훈군 바로 알기 (22) | 2010.05.05 |